ESG 경영(환경, 사회, 지배구조)은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경영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며, ESG 경영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ESG 경영은 환경적 측면에서는 탄소 배출 감소, 에너지 효율성 제고,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등을 통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노동 조건 개선, 지역사회 지원, 공정한 비즈니스 관행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강화 등을 통해 기업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ESG는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다. 이제 ESG를 알아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기업과 개인 모두가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것은 기후위기 시대에 필수적이다. ESG 경영은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장기적인 기업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ESG는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있으며, ESG를 준수하는 기업은 더 높은 투자유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이미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는 분명 도전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기업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친환경 제품 생산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으며, 재생 가능 에너지, 친환경 건축, 전기차와 같은 산업은 앞으로 더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은 사회적 신뢰와 평판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와 투자자의 신뢰를 얻는 기업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보고서 형태의 간결한 요약식 핸드북으로 제작되었다. 비록 분량은 적지만 ESG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우리가 ESG 경영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 순 항 Soon Hang Jeong
경영학 박사
경영지도사
기업재난관리사
창업보육전문매니저
ESG경영수준진단평가사
ESG Management System Auditor
ISO 9001, 14001, 45001 심사원
지속가능성장경영연구소 대표
(사)한국디지털ESG협회 이사
서스틴네이버스(협) 이사
전)송원대학교 금융세무경영학과 겸임교수
전)광주은행에서 지점장 등으로 32년 근무